#1 오버워치 설정. 오버워치 컴퓨터.
*이 글은 오버워치 설정값을 144프레임이상으로 두는 전제하에 쓰는 글입니다.
재능이란, 21세기 혹독한 무한 경쟁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어느 분야에서나 남들의 동경과 시기를 한몸에 받을 수 있는, 누구나 갖고 싶어하는, 독보적인 특별함이다. 오버워치에서는 이러한 재능을 가늠하는 척도가 점수(이하 티어)와 레벨의 상관관계이며, 플레이어가 금테두리 레벨 찍어서야 겨우 상위티어에 처음 도달하면 노력충, 브론즈테두리 별한두개 레벨로 상위티어에 처음 도달하면 재능충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척도에 기인해 '오버워치를 잘하고 싶은데, 나는 재능이 없나봐' 라고 스스로 판단하며 자학하는 분들이 있다. 하지만 본인의 티어를 순수하게 본인 재능탓으로만 하기에는 오버워치에는 외적 내적으로 티어에 미치는 너무나도 많은 요소들이 존재한다. 재능,노력,환경이라는 이 궁극의 삼박자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이고 이 세가지 중 재능만을 콕 찝어서 탓하기에는 환경이라는 거대한, 노력이라는 거대한 존재가 있다. 단지 재능이란 녀석을 후순위로 두고 환경과 노력을 우선순위로 둬서 오버워치를 보다 잘할 수 있는 지 가늠하는것이 이 글의 연재 목적이다.
우사인볼트가 아이스링크장에서 달리기를 한다면 트랙에서 뛸때 만큼 잘 뛸 수 있을까? 절대 그럴일은 없을 것이다. 아이스링크장에서 다른사람들과 달린다면야 잘 뛰고 여전히 1등이겠지만, 그것은 상관없는 일이다. 본인이 트랙에서 뛸때보다 못 뛰니까.
무엇이든, 무엇인가를 잘하려면 가장 중요한 것은 노력,재능보다 환경이 먼저다. 재능이란것은 본인과 타인과의 격차이고 환경이란것은 본인과 본인과의 격차이기 때문이다. 재능있는 사람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남들보다 잘한다고 할진 모르지만, 최적,최고의 환경에 있는 자기자신보다 더 잘 할 수 있지는 않다. 위의 우사인볼트 예처럼말이다.
오버워치 또한 마찬가지다. 같은 점수대일지라도 어떤 사람은 아스팔트에서, 어떤 사람은 육상선수 전용 트랙에서 달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중요한건 먼저 자기자신에게 주어진 환경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오버워치를 잘하기 위해서 이 글을 보고계신 여러분 또한 예외 없이 해당되는 사항이다. 그만큼 본인의 오버워치 실력을 만개하여 경쟁전에서 활개치며 상위티어를 쟁취하고 싶다면, 가장 첫번째로 오버워치 사양을 무리없이 소화할 수 있는 빙판길이 아닌 육상 트랙 즉, 성능좋은 컴퓨터가 필요하다.
(장비성능이 이미 좋거나, 장비업그레이드가 무리인 분들은 다른챕터를 보시길 권장한다.)
오버워치 사양은 블리자드 공식 고객지원 사이트에 게재되어있다.

출처: https://kr.battle.net/support/ko/article/Overwatch-System-Requirements
결론부터 말하자면, 권장사양 그 이상의 좋은 사양을 가져야한다.
어차피 저 사양은 144hz 모니터와 한타시에도 144프레임이상의 성능을 낼 수 있는 그래픽카드를 고려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못믿겠으면 직접 권장사양대로 구매한뒤에 플레이 해보면된다. 한마디로 저 사진의 사양들은 고려하지말고 컴퓨터를 업그레이드 시켜야한다.
( 144프레임과 144hz란 추후에 다루겠지만, 간략하게 말하자면, 오버워치를 잘하기위해 반드시 해야하는 최소한의 설정값이다.)
2017년05월07일 기준으로 컴퓨터 부품을 추천해주겠지만, 컴퓨터 부품 전문업자도 아니고, 어떤제품을 추천해줘도 그 제품보다 더 싼 제품으로 144프레임이상의 성능을 이끌어 낼 수도 있기 때문에, 오버스펙으로 여유있는 컴퓨터 부품을 추천드리며, 그것을 가이드라인삼아 다운그레이드하든 업그레이드하든 타협하며 좋은 컴퓨터를 구매하시기 바란다.
컴퓨터 부품
1.프로세서(CPU)
라이젠5 1600
2.메인보드
취향
3.메모리(램)
삼성 8gb 램x2
4.비디오(그래픽카드)
gtx1070
5.파워
FSP hydro 600w 80plus bronze
6.SSD,HDD
취향.
위의 부품들은 오버워치 돌리는데 명백히 오버스펙이며, 본인들의 주머니사정과 기분, 취향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율하면 되겠다. 메인보드와 ssd,hdd를 취향이라고 적은 이유는 hdd만 맞추는 사람들도있고 ssd만 맞추는사람들도 있으며 조금만 검색해봐도 평가 좋은 ssd hdd를 알 수 있고, 메인보드같은경우에는 cpu가 정해지면 호환되는 메인보드중에서 평가좋은 메인보드를 구매하면 되기때문에 무리없다.
다만, pc조립사의 오버워치 컴퓨터라면서 파는거라던지 애초에 완성되서 나오는 컴퓨터라던가 대기업쪽에서 판매하는 컴퓨터는 비추한다. 대게 가격대보다 로우 스펙이며 대기업 컴퓨터같은경우 긴 a/s기간 서비스때문에 비쌀뿐 부품 자체는 가격대비 제일 떨어진다.
이제 144프레임을 유지하기위한 준비가 끝났다.
이렇게 컴퓨터를 맞추었다고 해서 끝난것이 아니고 이것이 시작이며
이것을 토대로 다음에는 프레임과 모니터를 함께 다루도록 하겠다.
참고로, 오버워치를 사려고해도 본인 컴퓨터 사양이 간당간당해서 사는게 망설여진다 하는 독자분들도 그냥 일단 구매하고 설치해서 플레이해봐라. 오버워치내 그래픽 옵션 사양을 낮췄는데도 훈련장에서 때리바(훈련용 봇)들이 순간이동하면서 돌아다닌다면 혹은 딱봐도 렉이 걸린다면, 과감히 오버워치를 지우고 환불요청을 하면된다

출처: https://kr.battle.net/support/ko/article/blizzard-games-refund
환불규정을 보면 접속해서 2시간, 사양세팅해보고 게임 심지어 두세판은 해 볼 수 있는 넉넉한 시간까지주며, 환불된 금액은 배틀코인으로 전환되서 환불되는 헬조센식이 아닌 본인이 순수하게 결제했던 방식에서 환불해준다. 말그대로 되감기.
그러니 본인 컴퓨터사양이 오버워치를 해도 괜찮은지 인터넷에 며칠동안 물어보며 쓸데없이 고생하지말고, 일단 구매해보고 본인컴퓨터로 오버워치를 실행하시고 플레이 가능한지 체크해보시길 바란다. 그게 가장 명쾌한 답이다.
재능이란, 21세기 혹독한 무한 경쟁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어느 분야에서나 남들의 동경과 시기를 한몸에 받을 수 있는, 누구나 갖고 싶어하는, 독보적인 특별함이다. 오버워치에서는 이러한 재능을 가늠하는 척도가 점수(이하 티어)와 레벨의 상관관계이며, 플레이어가 금테두리 레벨 찍어서야 겨우 상위티어에 처음 도달하면 노력충, 브론즈테두리 별한두개 레벨로 상위티어에 처음 도달하면 재능충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척도에 기인해 '오버워치를 잘하고 싶은데, 나는 재능이 없나봐' 라고 스스로 판단하며 자학하는 분들이 있다. 하지만 본인의 티어를 순수하게 본인 재능탓으로만 하기에는 오버워치에는 외적 내적으로 티어에 미치는 너무나도 많은 요소들이 존재한다. 재능,노력,환경이라는 이 궁극의 삼박자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이고 이 세가지 중 재능만을 콕 찝어서 탓하기에는 환경이라는 거대한, 노력이라는 거대한 존재가 있다. 단지 재능이란 녀석을 후순위로 두고 환경과 노력을 우선순위로 둬서 오버워치를 보다 잘할 수 있는 지 가늠하는것이 이 글의 연재 목적이다.
우사인볼트가 아이스링크장에서 달리기를 한다면 트랙에서 뛸때 만큼 잘 뛸 수 있을까? 절대 그럴일은 없을 것이다. 아이스링크장에서 다른사람들과 달린다면야 잘 뛰고 여전히 1등이겠지만, 그것은 상관없는 일이다. 본인이 트랙에서 뛸때보다 못 뛰니까.
무엇이든, 무엇인가를 잘하려면 가장 중요한 것은 노력,재능보다 환경이 먼저다. 재능이란것은 본인과 타인과의 격차이고 환경이란것은 본인과 본인과의 격차이기 때문이다. 재능있는 사람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남들보다 잘한다고 할진 모르지만, 최적,최고의 환경에 있는 자기자신보다 더 잘 할 수 있지는 않다. 위의 우사인볼트 예처럼말이다.
오버워치 또한 마찬가지다. 같은 점수대일지라도 어떤 사람은 아스팔트에서, 어떤 사람은 육상선수 전용 트랙에서 달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중요한건 먼저 자기자신에게 주어진 환경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오버워치를 잘하기 위해서 이 글을 보고계신 여러분 또한 예외 없이 해당되는 사항이다. 그만큼 본인의 오버워치 실력을 만개하여 경쟁전에서 활개치며 상위티어를 쟁취하고 싶다면, 가장 첫번째로 오버워치 사양을 무리없이 소화할 수 있는 빙판길이 아닌 육상 트랙 즉, 성능좋은 컴퓨터가 필요하다.
(장비성능이 이미 좋거나, 장비업그레이드가 무리인 분들은 다른챕터를 보시길 권장한다.)
오버워치 사양은 블리자드 공식 고객지원 사이트에 게재되어있다.

출처: https://kr.battle.net/support/ko/article/Overwatch-System-Requirements
결론부터 말하자면, 권장사양 그 이상의 좋은 사양을 가져야한다.
어차피 저 사양은 144hz 모니터와 한타시에도 144프레임이상의 성능을 낼 수 있는 그래픽카드를 고려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못믿겠으면 직접 권장사양대로 구매한뒤에 플레이 해보면된다. 한마디로 저 사진의 사양들은 고려하지말고 컴퓨터를 업그레이드 시켜야한다.
( 144프레임과 144hz란 추후에 다루겠지만, 간략하게 말하자면, 오버워치를 잘하기위해 반드시 해야하는 최소한의 설정값이다.)
2017년05월07일 기준으로 컴퓨터 부품을 추천해주겠지만, 컴퓨터 부품 전문업자도 아니고, 어떤제품을 추천해줘도 그 제품보다 더 싼 제품으로 144프레임이상의 성능을 이끌어 낼 수도 있기 때문에, 오버스펙으로 여유있는 컴퓨터 부품을 추천드리며, 그것을 가이드라인삼아 다운그레이드하든 업그레이드하든 타협하며 좋은 컴퓨터를 구매하시기 바란다.
컴퓨터 부품
1.프로세서(CPU)
라이젠5 1600
2.메인보드
취향
3.메모리(램)
삼성 8gb 램x2
4.비디오(그래픽카드)
gtx1070
5.파워
FSP hydro 600w 80plus bronze
6.SSD,HDD
취향.
위의 부품들은 오버워치 돌리는데 명백히 오버스펙이며, 본인들의 주머니사정과 기분, 취향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율하면 되겠다. 메인보드와 ssd,hdd를 취향이라고 적은 이유는 hdd만 맞추는 사람들도있고 ssd만 맞추는사람들도 있으며 조금만 검색해봐도 평가 좋은 ssd hdd를 알 수 있고, 메인보드같은경우에는 cpu가 정해지면 호환되는 메인보드중에서 평가좋은 메인보드를 구매하면 되기때문에 무리없다.
다만, pc조립사의 오버워치 컴퓨터라면서 파는거라던지 애초에 완성되서 나오는 컴퓨터라던가 대기업쪽에서 판매하는 컴퓨터는 비추한다. 대게 가격대보다 로우 스펙이며 대기업 컴퓨터같은경우 긴 a/s기간 서비스때문에 비쌀뿐 부품 자체는 가격대비 제일 떨어진다.
이제 144프레임을 유지하기위한 준비가 끝났다.
이렇게 컴퓨터를 맞추었다고 해서 끝난것이 아니고 이것이 시작이며
이것을 토대로 다음에는 프레임과 모니터를 함께 다루도록 하겠다.
참고로, 오버워치를 사려고해도 본인 컴퓨터 사양이 간당간당해서 사는게 망설여진다 하는 독자분들도 그냥 일단 구매하고 설치해서 플레이해봐라. 오버워치내 그래픽 옵션 사양을 낮췄는데도 훈련장에서 때리바(훈련용 봇)들이 순간이동하면서 돌아다닌다면 혹은 딱봐도 렉이 걸린다면, 과감히 오버워치를 지우고 환불요청을 하면된다

출처: https://kr.battle.net/support/ko/article/blizzard-games-refund
환불규정을 보면 접속해서 2시간, 사양세팅해보고 게임 심지어 두세판은 해 볼 수 있는 넉넉한 시간까지주며, 환불된 금액은 배틀코인으로 전환되서 환불되는 헬조센식이 아닌 본인이 순수하게 결제했던 방식에서 환불해준다. 말그대로 되감기.
그러니 본인 컴퓨터사양이 오버워치를 해도 괜찮은지 인터넷에 며칠동안 물어보며 쓸데없이 고생하지말고, 일단 구매해보고 본인컴퓨터로 오버워치를 실행하시고 플레이 가능한지 체크해보시길 바란다. 그게 가장 명쾌한 답이다.
방송주소: http://twitch.tv/limpid1
댓글
댓글 쓰기